1. 결산
본지점이 있는 회사의 결산을 위해서는 통합 회사 코드를 하나 생성하는데 이게 첫 해는 그나마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본지점이 만들어진 후 2번째 기수부터 전기 이월금액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생긴다.
3월에 법인세 신고하느라 우선 통합코드에서 작업을 했다.
8월인 현재 법인세 중간예납 신고를 위해 재무제표를 제출해야 하는데 3월 법인세 신고시에 제출한 재무제표의 금액과 8월에 당해년도 재무제표를 제출하려고 보니 전기 이월금액이 맞지 않는다.
어떻게 해야 하지.?
예전에는 본점 코드의 기초금액을 통합 코드의 전기 기말잔액으로 수기로 맞추었다.
일종의 노가다.
거래처가 많거나 계정과목이 많은 회사라면?
한계가 있다.
내 회사도 본점과 지점이 있기에 이 부분을 어떻게 깔끔하게 해볼까 생각했다.
기존에 통합 작업을 하려면
A. 본점 코드 + B. 지점 코드 = C. 통합 코드
이렇게 C. 통합코드를 법인세 정기 신고 때 제출했다.
23년도 법인세 중간예납 자기계산 신고를 하려고 하니 각 본점, 지점에 데이터는 모두 반영해 두었는데 재무제표 하나로 어떻게 할까 생각해본다.
데이터 통합 시 통합 코드는 본점 코드의 거래처코드와 전기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생성하기 때문에 본지점이 생성된 이후 2번째 기수에 A. 본점 코드를 그대로 두면 A. 본점 코드의 거래처등록, 재무제표, 거래처별초기이월의 데이터를 가져오기 때문에 3월에 제출한 전기 재무제표 금액과 전혀 맞지 않다.
C.통합코드를 본점으로 두고 A.본점 코드를 지점 코드로 변경했다.
C. 본점(기존 통합) 코드 + A. 지점(기존 본점) 코드 + B. 지점 코드 = D. 통합 코드
C. 통합 코드에는 매출매입전표입력, 일반전표입력 메뉴에 데이터가 없어야 한다.
C. 통합 코드는 단순히 전년도 재무제표와 거래처별 초기이월이 필요할 뿐이다.
본지점 계정과목은 본점과 지점의 거래금액을 임시로 넣어 놓는 것으로 통합 과정을 거치면 0이 되어야 하는데 이렇듯 전기 금액은 40,789,000원으로 표시되었고 부가세대급금 역시 모두 정리하는데 520,470원이 전기에 남아 있는 이상한 데이터가 표시된다.
[C. 본점(기존 통합) 코드 + A. 지점(기존 본점) 코드 + B. 지점 코드 = D. 통합 코드]
이 과정으로 통합을 하니 본지점이 0이 되었고 부가세대급금은 아예 없다.
이때 본지점에 589,000원이 전기에 남아 있는 것은 전기에 결산이 잘못된 것을 의미한다.
결산을 제대로 하면 본지점 계정과목은 항상 0이 되어야 한다.
2. 법인세신고
위 까지는 결산을 위한 작업이었고 법인세 신고를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3월에 전기 법인세 신고를 할 때는 기존 통합코드인 C. 통합 코드에 데이터가 들어 있다.
결산이 모두 끝났다면 C. 통합 코드에 D. 통합 코드의 데이터를 데이터백업을 통해 C. 통합코드에 백업 복구를 한다. 이때 주의할 것은 당기분 데이터만 데이터백업해서 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전체 데이터로 백업해서 복구하면 C.통합코드에 있는 예전 데이터가 모두 덮어쓰기되어 삭제 된다.
데이터를 조금 손 쉽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내가 하는 작업에 대해서 경로와 주의할 것에 대해 별도로 메모를 한다든가 하여 실수가 없도록 해야 한다.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 프로그램의 기능을 생각하게 되는데 스마트에이 같은 경우 회사 등록 코드에 본점인지, 지점인지 여부를 넣게 되어 있다.
해당 회사가 총괄납부사업자라면 부가가치세 신고를 위해서는 실제 회사의 본점을 본점으로 해놔야 하지만 결산을 위해서 이 방법을 쓰는 것이 효율적이다.
나름 고민한 흔적인 끄적끄적.
#본지점통합 #법인세중간예납 #본지점결산
'세무회계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법인세 중간예납 신고가 끝나면 9월부터 해야 할 것 (8) | 2025.08.01 |
---|